우리가 먹는 채소 (1)
채소의 일반적인 특성
채소는 선명한 여러 가지 색소, 맛 성분, 향기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식욕을 돋우어 준다. 채소에 존재하는 무기질과 비타민 그리고 색소와 향기성분들은 조리과정에서 변하거나 손실되기 쉬우므로 취급할 때 조심해야 한다 채소류는 평균 약 90% 정도의 수분과 1~3%의 단백질, 0.1~0.5%의 지방, 2~10%의 탄수화물을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채소는 에너지 급원으로는 거의 이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무기질과 비타민 함량은 높은 편으로 특히 칼슘 함량이 높고 채소에 따라 다르기는 하나 칼슘(Ca)은 10~100mg% 정도 함유되어 있다. 녹황색채소에는 카로티노이드(carotenoid) 색소가 다량 존재하여 비타민 A를 공급한다 채소는 비타민 C의 급원으로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영양소 외에 섬유소, 페틴질 등의 식이성 섬유를 0.5~2%를 함유하고 있어 소화작용을 촉진하기도한다
○ 수분이 많다
○ 칼로리가 매우 적다
○ 비타민 A, B1, B2, C, E, 나이아신 등이 풍부하여 주 식물의 영양적 결핍을 보충한다
○ 칼륨, 칼슘이 풍부한 알칼리성 식품으로 산성을 중화시킨다
○ 칼슘, 철분의 부족을 보충해준다
○ 신선 다즙질이어서 식욕을 증진시킨다
○ 섬유소가 많아서 소화기관을 자극하여 변비를 예방한다
채소의 종류와 특징
채소류는 일반적으로 엽채, 근채, 과채, 화채, 종실채 등으로 분류한다
1. 엽채류
엽채에 속하는 채소는 배추, 양배추, 시금치, 상추, 쑥갓, 미나리, 갓, 아욱, 근대 등이 속한다. 엽채는 수분과 섬유질의 함량이 높고 칼로리와 단백질의 함량이 낮다 특히 카로틴, 비타민C, 비타민B2를 많이 함유하고 있다 푸른색이 진할수록 비타민C와 카로틴의 함량이 높다
(1) 배 추
배추는 비타민C, 칼슘, 칼륨, 나트륨이 많다. 섬유소가 풍부하여 정장작용이나 변비 예방에 효과적이다. 삶으면 황화합물이 분해되어 유황냄새가 난다
(2) 양배추
양배추는 꽃양배추, 브로콜리, 싹 양배추, 자색 양배추와 함께 겨자과에 속하는 채소이다 황을 함유하여 독특한 향미를 가지며 독일 요리로 식초에 절인 양배추 요리 사우어크라우트(sauerkraut)가 유명하다
(3) 시금치
시금치는 비타민A, 비타민C와 철, 칼슘이 풍부하다. 빈혈예방에 효과가 있는 엽산이 들어 있고, 수산은 칼슘과 결합하여 불용성의 수산칼슘을 형성하므로 칼슘흡수를 저해한다
(4) 쑥 갓
쑥갓은 독특한 향과 연한 줄기, 산뜻한 맛이 특징이다. 비타민A,C와 칼슘, 철이 많다 아스코르비나제(ascorbinase)가 들어 있어 비타민c는 파괴되기 싶다
(5) 부 추
부추는 솔(전라도), 정구지(경상도)로 불리며, 알릴디술파이드(alkylsulfide)라는 향기성분을 가져서 육류나 어류 조리 시 첨가하면 냄새제거에 효과적이다
(6) 들깻잎
들깻잎은 칼슘, 철, 비타민a, c의 함량이 풍부한 채소로 들개보다 조성이 우수하다. 독특한 향은 페릴라알데히드(perilla aldehyde), 리모넨 페릴라 케톤(limonene perilla ketone)에 의한다
(7) 파
자극적인 냄새 성분인 알릴디술피드는 육류와 어류의 냄새제거에 효과적이다 비타민A는 파란 잎에, 줄기에는 비타민C가 많다
2. 근채류
무, 당근, 양파, 우엉, 토란, 연근, 감자, 마늘, 생강 등이 근채류에 속하며 수분 함유량이 높고, 섬유질의 함량은 보통이며 상당한 양의 탄수화물을 가지고 있다 가장 흔한 탄수화물로는 전분과 포도당이 있고 약간의 자당도 볼 수 있다 비타민과 무기질의 함량은 높지 않다
(1) 죽 순
대나무의 지하경에서 돋아다는 어린 싹으로 아린 맛을 함유되어 있어 물에 담가 우려낸 뒤 이용한다
(2) 무
디아스타아제(diastase)는 무에 들어 있는 아밀라제(amylase)로 생식하면 소화를 도와준다. 무청에는 카로틴과 비타민C가 많다. 메틸메르갑탄(methylmercaptan), 머스타드 오일(mustard oil)은 무 특유의 매운맛과 향기 성분이다. 이 맛은 휘발성이 강하고, 수용액 중에서 불안정하여 차츰 소실되는 특성을 지닌다
(3) 당근
주황색이 진할수록 b-카로틴 함량이 많다 생으로 섭취하면 소화흡수율이 10%에 불가하나 익히거나 기름에 튀기면 30~50%로 증가한다 아스코르비나제가 들어 있는 다른 채소(무, 오이)와 함께 조리 할 때나 당근을 으개고 즙을 낼 때 비타민c가 파괴된다. 비타민c는 뿌리보다 잎에 25배가량 더 많이 함유한다
(4) 양파
비늘 줄기에 함유된 자극적인 방향성분은 프로필알릴디술피드(propylallydisulfide)다 이는 가열로 분해되어 단맛이 강한 프로필 메르갑탄(propylmercaptan)이 되며 설탕의 50배에 해당하는 단맛을 지닌다 껍질에는 황산화제로 작용하는 플라보노이드계 색소인 케르세틴(quercetin)이 들어 있다
(5) 마늘
강한 살균력과 독특한 풍미를 지닌 향신료로, 향균 효과 및 항암작용 1순위의 식품으로 매운 맛은 알리신(allicin)이며, 이는 비타민b1이 함유된 식품과 함께 먹으면 알리티아민(allithiamine)이 되어 흡수율이 향상 된다
(6) 연근
수련의 뿌리로 구멍이 작은 것이 좋다 전분이 주성분이며 폴리페놀(polyphenol)류가 많아 산화효소에 의한 갈변이 일어나므로 자르면 바로 물에 담그거나 조리한다.
'급식소안전매뉴얼 > 조리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가 먹는 과일 (6) (0) | 2022.10.04 |
---|---|
우리가 먹는 과일(5) (0) | 2022.10.04 |
우리가 먹는 과일 (4) (0) | 2022.10.04 |
우리가 먹는 과일 (3) (0) | 2022.10.04 |
우리가 먹는과일 (2) (0) | 2022.10.04 |